전체 글279 모멘텀 vs 가치 - 벤자민 그레이엄, 워렌 버핏, 피터 린치 안녕하세요. 빅 스탁입니다. 당신의 투자에 대한 관점은 어떠한가요? 치열한 투자의 세계에서 살아남기 위해서 자신의 성향을 고려한 투자스타일을 확고히 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혹시 모멘텀 투자와 가치 투자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투자에는 정답이 없으며, 수익을 낼 수 있다면 롱포지션이든, 숏포지션이든 자신만의 방법을 적용하면 됩니다. 그 과정에서 각자마다 수업료를 지불하기도 하고, '투자는 나와 맞지 않아'하며 시장을 떠나기도 합니다. 이번 시간에는 투자에 대한 관점으로 모멘텀 투자와 가치 투자에 대하여 소개를 해보고자 합니다. 1. 모멘텀 투자 1). 모멘텀이란? 모멘텀(Momentum)이란 원래 물리학에서 사용되던 용어로 '운동량', '추진력'등을 뜻합니다. 그러나 주식 시장에서 사용되는 모멘텀은 주가가.. 2022. 11. 10. 미국 배당 - Feat. 왜 배당인가? 고정배당 우선주, 고배당주, 배당성장주, 배당 투자 전 확인사항 안녕하세요. 빅 스탁입니다. 찬바람이 불땐 배당주라는 말 들어보셨나요? 요즘처럼 인플레이션, 리세션 등으로 주식시장이 어려울 때 월급처럼 따박따박 지급되는 배당이 그나마 버팀목이 된다는 배당주를 지칭하는 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미국 배당주에 대하여 소개를 해보고자 합니다. 1. 왜 배당주인가? 가치주와 성장주란? - (Feat.코카콜라, 테슬라) 안녕하세요. 빅 스탁입니다. 2022년은 정말 어렵고 힘든 장인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내실을 다지기 위하여 시장 분위기에 일희일비하기보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성, 가치, 본질 등을 파악 0501aaas.tistory.com 미국 주식은 높은 성장률을 목표로 하는 성장주와 일정 수준의 성장을 이루고서 이익을 유지하며 배당을 주로 분배하는 가치주로 나뉠 .. 2022. 11. 9. 미국 시장이란? 안녕하세요. 빅 스탁입니다. 동학 개미, 서학 개미라는 단어를 들어보셨나요? 2020~2021년 최근 대세 상승장에 올라타 국내 주식, 해외주식(미국 주식)을 하던 개인투자자를 일컫는 말입니다. 이번 시간에는 서학 개미로서 해외주식 중 미국 주식에 대한 소개를 해보고자 합니다. 미국 주식 2014년~2017년동안 FAANG(Facebook/Apple/Amazon/Netflix/Google)은 주가가 무려 180%나 상승하였었습니다. 그 이후로도 FAANG은 시장을 주도하는 미국의 IT기업들로서 각광을 받아왔습니다. 특히 2020년 시작되었던 코로나로 인한 경기침체를 극복하기 위하여 완연한 양적완화의 시대가 시작되었고, 화려하리만큼 높은 가격을 형성하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이 시작되면서 긴축의 시대가 .. 2022. 11. 9. 돈 공부가 필요한 까닭 안녕하세요. 빅 스탁입니다. 어렸을 적부터 공부는 다 때가 있다는 얘기를 정말 많이 들었던 것 같습니다. 입시공부, 대학교 공부, 스펙 공부 등 젊은 날을 지식으로 채우기 위하여 노력했었던 것 같습니다. 그러나 자신이 원하는 목표에 도달하고 나면 공부라는 것, 책이라는 것에서 손을 놓기 마련인데요. 이번 시간에는 공부 중에서 돈 공부란 무엇인지, 돈 공부가 필요한 까닭이 무엇인지에 대하여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돈 공부 이 게시물을 보시는 분의 대부분은 시험을 준비하는 수험생이 아닐 것입니다. 적어도 돈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거나, 돈에 대하여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읽게 되겠지요. 더 축소해보면 현재 부를 축적하거나 완성시킨 사람이 아닌, 사회초년생 또는 월급쟁이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잘 .. 2022. 11. 7. 서머타임(Summer Time)이란? - 미국주식 서머타임 해제 안녕하세요. 빅스탁입니다. 일광절약 시간(Daylight saving time)이라고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여름은 낮이 더 길고, 밤이 짧습니다. 이러한 여름에 1시간을 당겨서 사용한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그렇다면 왜 그렇게 하는 것일까요? 오늘은 일광절약 시간, 즉 서머타임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서머타임 개념 여름철 표준시간보다 1시간 시계를 앞당겨 사용하는 제도입니다. 여름은 해가 오래 떠있습니다. 원래 서머타임은 일을 일찍 시작하여 일찍 마쳐 에너지를 절약하고, 햇빛을 오래 쬐어 건강을 증진하자는 취지로 주장되었습니다. 제1차 세계대전 중 독일이 가장 먼저 시행하였으나, 일상생활 및 학술적인 면 등에서 불편과 혼란을 초래하여 중단한 국가들이 많았습니다. 서머타임은 시간을 1시.. 2022. 11. 7. 가치주와 성장주란? - (Feat.코카콜라, 테슬라) 안녕하세요. 빅 스탁입니다. 2022년은 정말 어렵고 힘든 장인 것 같습니다. 이럴 때일수록 내실을 다지기 위하여 시장 분위기에 일희일비하기보다 기업이 가지고 있는 특성, 가치, 본질 등을 파악할 시간이라 생각합니다. 오늘은 주식이 가지고 있는 특성에 따라 가치주와 성장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하며, 가치주와 성장주의 정의 및 특징, 가치주와 성장주의 대표 사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가치주 1) 정의 가치주는 Value stock이라고 불리며 일정한 성장을 이루어내어 괄목할만한 성장은 더딜 수 있으나 현재가치에 비하여 저평가된 주식을 뜻한다. 가치주는 꾸준한 성장을 바탕으로 자산가치가 우량해진 우량주로서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하며 주주에게 배당을 지급합니다. 가치주는 성장주에 비하여 영업실적(.. 2022. 11. 7. EPS-PER-BPR-PBR-ROE-ROI 안녕하세요. 빅스탁입니다. 오늘은 주식의 기본이 되는 지표인 주당순이익(EPS), 주가 수익비율(PER), 주당순자산가치(BPS), 주가순자산비율(PBR), 자기 자본 이익률(ROE), 총자산이익률(ROI)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EPS(주당순이익 : Earning Per Share) EPS = 당기순이익 ÷ 발행 주식수 EPS는 당기순이익을 발행 주식수로 나눈 값이며, 회사가 1년 동안 올린 수익에 대한 주주의 몫을 나타내는 지표라 할 수 있다. A 회사는 총 주식 발행 수가 1000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 회사의 올해 이익이 5000만 원이라면 EPS는 5000만 원을 1000주로 나누어 주당 5만 원의 EPS를 기록하였다고 볼 수 있다. 회사의 입장에서 이익은 클수록 좋은.. 2022. 11. 7. 이전 1 ··· 32 33 34 35 다음